こんにちは。 ランニングサポーターの久保です。
각지에서 마라톤 대회가 자주 행해지고 있네요. 제가 지도에 종사하고 있는 많은 분들도 레이스에 출전되고 있습니다. 나 일상의 바쁘기 때문에 연습이 쌓이지 않고,
저는 자주 감각적인 이야기를 합니다. 등입니다. 이들은 부상 방지도 됩니다.
를 얻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알고 있습니다.
그러나 현역을 물리친 지금은 그 감각이 어떤 것이었는지를 기억하는 것이 힘들어요. 도 떨어지는 관절의 가동역도 감소해 나가므로 감각이 둔하고 있습니다.
まず、私がフォームをつくり上げるときに意識しているポイントをいくつか上げますね。
① 후두부, 등, 허리가 똑바로 축을 유지하고 있는 의식
②顔、胸といった前面が平面になるような壁をつくる意識(首が前へ出過ぎず顎を引いたような感じ)
③お尻が軽く持ち上がって、おヘソ辺りのお腹がピーンと伸びている意識(腰を反り過ぎてはいけません)
④腕を振ったときに上半身と骨盤が前へ押し出される意識(子どもたちは上手く腕を使って体を前に運ぼうとしています。昔はみなさんにもできたはず!)
⑤足先は前へ出し過ぎず、重心の真下(くるぶしより少しだけ前)にくるよう着地し、地面を押し出す意識(一本下駄を履いて走ることをイメージ)
補足:足の接地がお尻で安定し、内転筋(ハムストリング)で後ろへ受け流す(ふくらはぎを使わず、上体を膝から膝下の骨に乗せる)
문장에서는 조금 어려웠을지도 모릅니다만, 이것이 나의 생각하는 의식입니다.이런 일을 하나 하나 확인하면서 퍼즐을 연결해 가는군요. 이것이 완성하면 무서운 것은 없습니다. 무리없이 할 수 있고 경주에서
内面を感じることは走る以上に難しいかもしれません。また、感覚を言葉にすることも容易いことではありません。いつかどこかで、私の感覚とみなさんの感覚が繋がり共有できることを願いながら、今日も指導に励みたいと思います。